올해 실리콘밸리 빅테크 기업들은 더 크게 성장했다. 매출액과 순이익은 작년보다 늘었고, 주가도 큰 폭으로 상승했다. 빅테크들이 세상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느 때보다 커졌다. 하지만 빅테크들은 이런 실적으로 제국을 이룬 동시에 절체절명의 위기 속에 놓였다. 빅테크들의 방대해진 힘을 관리하기 위해 수많은 규제 기관이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의 공정거래위원회 격인 미 FTC(연방거래위원회)는 아마존의 핵심 사업인 클라우드(가상서버) 사업에 대해 반독점 조사를 추진하고 있다고 블룸버그가 22일 보도했다. FTC가 아마존의 급소를 정밀 타격하는 것이다. 뉴욕타임스는 22일 “올해 테크 공룡들은 더 강력해졌고, 이와 동시에 더 취약해졌다”고 보도했다.
◇시총 3조달러 바라보는 애플
테크 업계에선 “올해 빅테크 기업들이 전 세계에 미치는 힘이 그 어느 때보다 커졌다”고 평가한다.
매출액 기준 세계 1위 스마트폰 업체인 애플은 전대미문의 시가총액 3조달러(3576조원)를 바라보고 있다. 22일(현지시각) 기준 애플 시가총액은 2조8800만달러다. IMF 기준 이탈리아 GDP(2조1000억달러), 캐나다(1조9000억달러), 한국(1조8000억달러)을 넘어서고 프랑스(2조9000억달러)와 비슷한 수준이다.
아마존은 올해 미국 전체의 시간당 임금 상승 효과를 낳았다. 코로나 팬데믹 상황이 장기화하면서 미국 내 노동력이 부족한 상황이 생기자, 아마존이 근로자에게 지급하는 임금 수준이 미국 저숙련 노동자들의 임금과 복지를 결정하는 기준으로 작용한 것이다. 아마존은 지난 9월 평균 시급을 18.32달러(약 2만1800원)로 상향 조정했다. 이는 미국 연방의 시간당 최저임금인 7.25달러의 2배를 웃돈다. 물류업체 ‘UPS’와 세계 최대 곡물기업 ‘카길’, 반려동물 사료 업체 ‘추이’ 등은 아마존에 직원들을 뺏기지 않기 위해 시급을 20달러 수준으로 올렸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은 보도했다.
지난 10월 4일(현지시각) 전 세계적으로 발생한 6시간 동안의 페이스북 서비스 마비는 역설적으로 빅테크가 세상에 미치는 영향력을 보여줬다. 당시 6시간 동안 페이스북 서비스가 멈춰서면서, 페이스북 내부 업무 플랫폼인 워크플레이스도 중단돼 전 세계 페이스북 직원들은 업무를 하지 못했다. 페이스북을 마케팅 도구와 상품 판매 창구로 사용하는 전 세계 소상공인들은 그날 하루 장사를 공쳤다. 페이스북의 왓츠앱도 함께 중단되며 수많은 사람들은 친구와 가족, 비즈니스 연락이 끊겼다. 뉴욕타임스는 “페이스북 서비스 중단은 역설적으로 페이스북이 일상생활에 얼마나 필수적인지 보여준 전지구적 상황이었다”고 보도했다.
◇미운털 박히고, 규제기관 타깃된 빅테크
빅테크들은 어느 때보다 막강한 권력을 손에 넣었지만, 규제 기관들은 이를 탐탁지 않게 보고 있다.
지난 6월 미 FTC 위원장이 된 ‘아마존 킬러’라는 별명을 가진 리나 칸 컬럼비아 법대 교수는 최근 아마존이 사업을 하며 저지른 독점 행위를 광범위하게 조사 중이다. 특히 리나 칸은 아마존의 급소를 노리고 있다. 바로 클라우드다. FTC는 아마존이 고객에게 클라우드 서비스를 판매하면서 아마존 경쟁 회사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지 말라고 인센티브를 제공했는지 여부를 조사 중이다. 만약 아마존이 클라우드 사업에서 반독점법을 위반했다는 결론이 나고 제재를 받는다면 아마존은 전체 실적에서 큰 타격을 입는다. 아마존웹서비스는 전 세계 클라우드 시장 1위 업체다. 41%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애플과 구글은 앱 개발자들에게 최대 30% 수수료를 가져가는 앱 장터 수수료로 인해 한국을 포함해 전 세계에서 규제 대상에 올랐다. 페이스북은 사용자 보호보다 이윤 추구를 우선했다는 비판을 받으며 미 워싱턴 정가의 타깃이 됐다.
사용자들이 더는 빅테크 기업들을 무한신뢰하진 않는 것도 위기다. 워싱턴포스트와 조지 메이슨대 공공행정대학원 샤르스쿨이 지난달 4일부터 22일까지 미국 성인 11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72%가 페이스북을 불신한다고 답했다. 틱톡을 불신한다는 비율은 63%, 인스타그램은 60%, 유튜브는 53%, 구글은 47%였다. 애플과 아마존을 불신하는 비율도 각각 40%에 달했다. 전체 중 64%는 빅테크 규제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테크 업계에선 내년 빅테크 기업들이 혹독한 외풍을 견뎌야 할 것으로 본다. 각국의 테크 기업 규제가 본격화되면 이전보다 사업 확장이나 인수합병 등이 까다로워질 수 있다. 뉴욕타임스는 22일 “빅테크들은 위기를 헤쳐가며 강력해졌지만, 제국은 영원히 지속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고 했다.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이낸스, 두바이 세계무역센터청과 업무협약 체결 (0) | 2021.12.24 |
---|---|
테라(LUNA) 급등세로 사상 최고가 기록하며 시총 9위에 올라 (0) | 2021.12.24 |
2021 가상자산 시장 6대 승자는 누구? (0) | 2021.12.24 |
이재명 "가상자산, 외면할 수 없는 현실…안정화 방안 필요" (0) | 2021.12.24 |
양자·우주·사이버보안..패권경쟁 주도하는 '기술주권' 키운다 - 정부 '10대 국가 필수전략기술' 선정 (0) | 2021.12.23 |
한국 경제, 정점을 찍었나 (0) | 2021.08.26 |
2021년 5월, 운명의 갈림길이 될까 (0) | 2021.05.05 |
미중간 본격적인 갈등이 시작될지도 모른다고 주식시장이 말하고 있다. 2021년 4월 17일 감성난민의 시각 (0) | 2021.04.17 |
트럼프의 미국, 중국 금융시장을 개방시키다 - 1차 협상의 최대 수확은 프라자 합의를 능가하는 중국 금융시장 개방 (0) | 2020.01.14 |
미중 무역전쟁, 홍콩, 브렉시트 등 대외악재 완화로 주요지수 급등! 가투로타픽스 주요시황 브리핑 (0) | 2019.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