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478)
16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15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대한민국 민주주의와 경제의 추락, 이대로 멈출 수 있을까 세계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스웨덴 예테보리대학에서 매년 발표하는 민주주의보고서가 발간되었다. 조선에서 빨갱이 대마왕으로 취급받는 문재인 시절 역사상 최초로 자유민주주의 등급에 올라갔던 대한민국 민주주의는 단 2년만에 선거 민주주의 등급으로 하향 조정되었고, 심지어 독재화가 진행중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보고서 전문은 아래 링크에서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다.https://www.v-dem.net/ V-DemV-Dem provides a multidimensional and disaggregated dataset that reflects the complexity of the concept of democracy as a system of rule that goes beyond the simple presenc..
일본 산케이 "윤석열이 브랜드 코리아 완전히 망쳤다" 아쉽게 영국 리즈대학 선임연구원의 기고로 이루어진 닛케이 아시아 영문판 기사지만, 보수적인 일본경제신문 그룹의 데스크가 내보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일본 보수 매체조차 다루지만 조선 기레기들이 다루지 않는 내용이라 기사 전문과 함께 소개한다.https://asia.nikkei.com/Opinion/Yoon-Suk-Yeol-has-trashed-Brand-Korea Yoon Suk Yeol has trashed 'Brand Korea'Impeached president has shattered South Korea's reputation and poisoned its politicsasia.nikkei.com 대한민국 헌법재판소는 조만간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을 인용할지 여부에 대한 판결을 내릴 것으로 예상..
해외 언론들이 지목하는 참사 원인은 무안공항 "죽음의 벽" 해외 언론에서는 연일 이 이해할 수 없는 강력한 콘크리트 구조물이 참사의 원인임을 지목하고 있다. The Sun에서도 전문가들이 한결같이 너무나 이상한 구조물이라며 이 "죽음의 벽"때문에 성공적으로 끝날 수도 있었던 비상착륙이 엄청난 참사로 변했다고 말하고 있다. 활주로 앞뒤는 물론 주변에도 비행기가 부딪혀도 쉽게 부서질 수 있는 형태 외에는 어떠한 구조물도 설치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고 한다.그렇지 않으면 설사 랜딩기어가 정상 작동된다고 해도 바닥 미끄러짐이나 타이어 문제 등 사소해 보이는 현상이 비행기에게는 치명적인 사고로 연결되기 때문이라고. 이번 비상착륙은 비행기가 땅에 닿는 순간 비행기를 온전하게 유지할 정도로 좋았지만 이 구조물에 닿는 순간 폭발하며 참사로 변한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이에 대해..
무안공항 제주항공 참사 원인은 전례 없는 둔덕 구조물? https://www.youtube.com/watch?v=1vjMRCG7Mjg한창 바쁠때 국내 여기저기 공항을 많이 이용해본 사람으로서 너무나 안타까웠고 공포스러웠던 이번 사고. 지난밤 잠을 완전히 설쳤다. 정황들을 종합해 보면 조류 충돌로 인한 엔진 화재, 그 충격과 폭발, 화재로 인해 아마도 랜딩기어조차 조작되지 않았거나 그럴 틈마저 없이 급하게 턴해서 반대방향으로 동체착륙을 시도해야 할만큼 급박한 상황이었던거 같다. 1차 착륙시도 후 비행기가 고도를 높이다 급강하하는 궤적이 확인되기도 했고, 이는 목격자들의 증언과도 일치한다.하지만 처음엔 국내 언론들의 말대로 외벽에 충돌, 폭발한줄 알았는데, 해외 언론과 전문가들의 분석을 살펴보니 대개 기장이 최선을 다해 엄청난 집중력으로 동체착륙을 성공시켰는데,..
멸공의 신세계가 중국 알리바바와 손잡는 이유 이건 뭐 제목과 댓글에 답이 다 나와 있어서 더이상의 설명은 필요 없을듯. 심지어 매체가 한경이라 주구장창 정용진 쉴드치는 드립으로 보도했지만..
이대남이 우경화되는 이유 캘리포니아대 명예교수 조앤 윌리엄스는 한국의 출산율 0.6명을 듣고 "한국 망했네요"라는 짤로 이미 유명해진 분.EBS 위대한 수업에 이분의 한국사회에 대한 분석이 올라왔는데 아마 이대남들의 반발이 거셌던 듯하다.하지만 정확한 분석 중의 하나임은 분명하며매우 폭력적이지만 치졸한 남성성을 관통하는 말들도 나오고사회과학적, 사회생태학적 관점으로 볼 땐 이게 맞지.한국사회에 나름대로 뜻있는 조언을 하는 이 강의에서젊은 청년들의 상처를 위로해주기 위해 남성들의 여건 개선과 정규직 일자리 확대가 필요하다며 끝을 맺지만, 아마 초창기에는 빼엑~거리는 남성들의 댓글로 넘쳐났었나보다.그래서 댓글로 영상이 완성된다는 댓글이 많은데.사실 외국인이고 교수라서 매우 점잖고 부드럽게 표현했다는 느낌이다.https://youtu..

반응형